♪가사
부용산오리길에 잔디만 푸르러 푸르러
솔밭사이 사이로 회오리 바람타고 간다는 말
한마디 없이 너는 가고 말았구나
피어나지 못한 채 병든 장미는 시들어지고
부용산봉우리에 하늘 푸르러 푸르러
(박기동 작사 /안성현 작곡)
♬해설
구전가요 「부용산」은 슬픈 가사에 애조 띤 가락이 잘 어우러지는 노래다. 지난 시절 빨치산들이 즐겨 불렀다고 하며, 전남 지역에서는 지금도 입에서 입에서 전해지며 맥이 이어지고 있다. 80년대에는 대학생들 사이에도 꽤 널리 퍼졌다.
최근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이 노래는 해방 직후 목포 항도여중에 근무하던 음악교사 안성현 과 국어교사 박기동이 이 학교에 다니다가 요절한 여학생의 상여 나가는 소리로서 이 노래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가사는 그보다 몇 해 전 박교사가 전남 벌교에서 그 역시 일찍 죽은 여동생을 추모하고자 쓴 것이다. 최근에 1절이 지어진지 52년만에 2절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다음은 「부용산」에 대한 칼럼이다.
東西의 노래
부르지 못한 노래 「부용산」이 반세기만에 다시 불려졌다. 누가 공식적으로 금지시킨 것도 아니면서 쉬쉬하며 숨은 입에서 숨은 입으로만 전해오던 노래가 누가 공식적으로 해금한 것도 아닌데 저절로 실컷 목청을 뽑기 시작했다.
지난 5월29일 저녁 전남 목포의 대형 레스토랑 뉴프린스에서 열린 소프라노 송광선(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씨의 초청 음악회에는 250여명이 모여 테이블을 가득 메웠다.
이 자리에서 송씨는 박기동 시 안성현 곡의 「부용산」을 불렀고 피날레에는 목포시립합창단이 이 노래를 합창했다. 휴식시간에는 국회의원 한화갑, 탤런트 임동진씨 등이 나와 이 노래를 경창했다. 「부용산」의 광복 음악회였다.
「부용산」은 본란이 작년에 두 차례에 걸쳐(98년2월14일자, 3월28일자) 발굴·소개한 노래다. 1947년 목포 항도여중에서 함께 교편을 잡고 있던 작시·작곡자에 의해 만들어져 목포에서 맨처음 불리기 시작했고 6·25때 작곡자가 월북하고 빨치산들의 애창곡이 되면서 지하로 숨어 호남지역에서만 구전되어 왔다.
젊어서 죽은 누이동생을 애도해 지은 시가 애제자이던 소녀의 죽음을 추모한 곡으로 변한 이 노래는 전혀 사상성이 없이 그 애조가 가슴을 애잔하게 적신다.
이 곡이 빛을 보면서 정식으로 음반에 수록된 것은 가수 이동원씨에 의해서이고 지난 3월 CD가 나왔다. 이때까지만 해도 이 노래는 가사가 1절밖에 없었다.
그 후 송광선씨가 음악회를 준비하면서 2절을 보충할 방법이 없겠느냐고 나에게 물어왔다. 나는 93년 호주로 이민가서 살고 있는 작시자 박기동씨에게 전화를 걸었다. 올해 82세의 박씨는 별다른 망설임없이 사흘 후 2절 가사를 팩스로 보내왔다.
그리움 강이 되어/내 가슴 맴돌아 흐르고/재를 넘는 석양은/저만치 홀로섰네/백합일시 그 향기롭던/너의 꿈은 간 데 없고/돌아서지 못한 채/나 외로이 예 서있으니/부용산 저 멀리엔 하늘만 푸르러 푸르러
1절이 나온지 52년만에 작시자 자신에 의해 붙여진 이 행운의 2절은 이번 목포 음악회에서 처음으로 불려졌다.
박씨는 이 가사를 보내면서 이렇게 덧붙였다.
『써놓고 보니 좀 껄끄럽게 된 것도 같고 너무 애상적으로 흐른 느낌이 없진 않지만 원래 「부용산」이란 시와 곡에는 그런 뉘앙스가 다분히 흐르고 있으니 어떡합니까. 눅눅한 음지만을 헤매던 이 곡이 소리의 주인공을 만나 햇볕 쏟아지는 양지로 나온다니 반갑습니다.
아옹다옹 쫓기고, 뜯기고 할퀴면서 이것도 사람사는 동네인가 싶을 만큼 썩어 문드러진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 동포들 중 몇명이라도 이 노래로 인해 위안을 받는다면 보람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 얼마후 「부용산」의 악보를 찾아냈던 목포출신의 배우 김성옥씨가 시드니로 가서 박씨를 직접 면담하고 왔고 목포의 음악회는 김씨가 주선한 것이다.
「부용산」 광복음악회는 목포에서 끝난 것이 아니다. 이 노래의 가사의 원산지는 작시자의 고향이자 실제로 부용산이 있는 전남 보성군의 벌교다. 벌교에서는 이달 하순경 이동원씨를 초청해 「부용산」을 시창(始唱)할 준비를 하고 있고 노래비도 세울 예정이다.
「부용산」은 실은 목포에서의 광복에 한발 앞서 경북 포항에서 불려졌다. 지난 5월13일과 14일 「삶과 꿈 싱어즈」(대표 신갑순)가 포항공대와 포스코에서의 공연에서 이 노래를 합창으로 소개했다. 이것은 「부용산」으로서는 획기적인 일이다. 호남의 노래인 이 곡이 영남에서 불린 것이 처음이기 때문이다.
어느 연배 이상의 호남인이라면 「부용산」을 모르는 사람이 별로 없고 영남인 중에서는 이 노래를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 노래가 숨어다니는 동안 영·호남의 경계인 지리산을 넘지 못했다.
음악은 합일(合一)의 기호(記號)다. 모든 노래는 하나 되게할 힘을 가졌다. 노래 하나도 통일되지 않는 땅에 화합은 없다. 이제 마음놓고 불려지기 시작한 「부용산이 국민개창의 노래가 된다면 동서화합에도 기여할 것이다.
(한국일보, 김성우 칼럼, 1999. 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