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Jangbok Lee October 1, 2009 at 3:35pm

한 통의 이메일을 받고
뭔지도 모르고 페이스북에 가입한다.

그냥 이메일만 넣으면 된단다.
주민번호 뭐 그런 구차한 것도 안 묻고
그냥 함 등록해 볼까 ?
안쓰면 그만이니까.

그리곤 잊고 지내다
올 들어 다시 들어가 본다.

폐이스북이 꿈틀거린다.
우리나라도 서서히 소셜의 세계로 빠져드는 느낌이다.


페이스북의 성장은 놀랍다.

페이스북에대한 영화를 만든다고 한다.
감독은 그 유명한 데이빗 핀처 감독
영화 세븐 감독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감독


20대 허버드 대학생이 만든 페이스북
도대체 이야기 꺼리가 있을까 하는 의문
도대체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을까?
궁금하기도 하다.

어찌 되었든 현재의 폐북의 질주는 놀랍다.
전세계에 5억의 인구가 쓰고 있다니
중국 인도 다음으로 가장 많은 인구가 사는 사이버 세계

IT전문가들은 향 후 IT의 방향은 페이스북이라고 한다.


구글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이 페이스북이다.
구글은 구글회사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서치엔진으로 찾아주지만

페이스북은 급여를 주지 않는 5억명의 고객이 정보를 만든다.
향 후에는 중요한 정보는 구글이 아니고 페이스북에서 찾아야 할 날이 올 것이라고 한다.

도대체 만든 사람은 누구고
어떻게 만들어 졌나 궁금하기도 한다.



미국에 개봉한다.
2주 연속 박스 오피스 1위

박스오피스 1위까지 할 정도의 내용은 아닌 것 같은데
무슨 내용인 지 더 궁금해 진다.

드디어 국내도 상륙
시간을 쪼개 영화관을 찾는다.

관객이 많지는 않다.
우리나라는 아직 그렇게 페이스북이 퍼지지 않았으니까
페이스북이 뭔지도 모르는 사람은 관심이 없게 마련이다.

영화가 시작된다.
꽉 막힌 소통이 안되는 하버드 대학생과 애인인 보스톤대 여대생과의 대화



영화 전체를 암시하는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페이스북은 소통과 네트워크로 이루어 진 사회이지만
그 페이스북을 만든 장본인은 전혀 소통이 안되는 그런 인간.
너무나 아이러니한 오프닝 신이다.

애인한테 채이고 기숙사로 뛰어가는 모습
그리고 배경으로 깔리는 영화음악
음울하다.


앞으로의 스토리 전게를 암시하는 그 음악

스토리는 폐이스북의 탄생을 배경으로 했지만
절대로 IT영화는 아니다.


자칫 잘못 햇으면 IT 세미나나
소셜네트워크의 미래에 대한 홍보영화로 전락할 수 있는 주제인데
감독은 배경만 페이스북을 따왔지
흐르는 내용은 전혀 IT 이야기가 아니다.


그리고 두 시간을 관객을 꼼짝못하게 하고 끌고 나가는 힘은 대단하다.

혹자는 법정 드라마다 스릴러물이다 하는데
내가 본 영화는 철저한 자본주의의 한 단면을 그대로 영화에 옮겨 논
자본주의의 적나라한 모습이다.

페이스메쉬의 카메라워킹은 놀랄만하다.
숨막히게 전개되는 화면들
한치의 오차도 없다.


마크가 만든 페이스북은
그 쪽 실리콘밸리의 세상을 잘 아는 파커에 의하여
급격히 확장된다.
파커의 안목은 대단하다.
애인의 PC에서 잠간 보고 한 눈에 그 가치를 알아 버린다.

하기야 냅스터로 천당과 지옥을 오간 인물이니
오죽 그 바닥을 잘 알겠는가?

그리고 마크의 오랜 친구인 왈도의 지분을 0.03%로 없애 버린다.
너무나도 순진한 알도
비지니스 세계의 비정함
이 장면을 보며
나는 올해 본 대부 Part 2의 배신한 형을 제거하는알파치노의 비정함이 생각났다.

마크는 부와 명예를 얻었지만
그주위에는 한 명의 친구도 애인도 없다.



앞으로 접근하는 그 모든 인간들은 마크의 인간성보다는 마크의 돈을 보고 모여드는 인간들 일 것이다.
젊은 나이에 너무나 많은 부를 거머쥔 외로운 억만장자

(인터넷에서 보니 실제 마크는 애인도 있고 친구도 주위에 많다고 한다.)

영화에서 찌질이로 번역되어 나오는 마크
머리는 좋은데
정작 소통을 목적으로하는 페이스북을 만들고 자기는 소통과는 거리가 멀다.

쿨한 페이스북을 만들어야 한다고 하면서 본인은 전혀 쿨하지 않은
인적 네트워크도 그렇고
비지니스 세계도 잘 아는 것 같지 않고


머리는 좋아 고객이 원하는 것을 정확히 파악하여 페이스북에 기능으로 추가한다.

영화가 끝나고 자막이 올라간다.
하나 둘 자리를 뜬다.
나만 자리에 남아있다.

자막 중간 쯤 음악이 비뀐다.
음산한 음악으로
그리고 그 음악이 끝까지 간다.

무엇을 뜻하는 지

마지막에
SONY 상표가 나온다
Columbia Pictures하고

아 그래서
처음에 나온 노트북이 SONY 노트북


나도 무언가를 기다려야 할 것 같은 느낌
자리에서 일어난다.


PS)

윈클보스 형제는 형제는 쌍둥이가 아니고 1인 2역이라고 한다.
감쪽같이 관객을 속였다.


우리나라 싸이와 비슷한 툴이고
인적 네트워크를 다루는 소프트웨어는 많았을 텐데
유독 페이스북이 떳는데 그 이유는 ???

Posted by 날으는종이배
|

  1. 또 한명의여자배우 그레이스 어거스틴 박사 역으로 나온 시고니 위버 에어리언에 출연했던 배우 에어리언2가86년 세월이 ... http://bit.ly/7f9pbv
  2. 미셸 로드리게즈 사진 http://bit.ly/5YVye9
  3. 인상깊은 배우 미셸 로드리게즈 헬기 운전하다 죽음. 로스트, 분노의질주 더 오리지널에서도 나왔었는데. 여전사로 연기 딱이네요.
  4. 아바타 맛있는 비빔밥. 천공의섬 나퓨타, 나우시카, 쥬라기공원, 매트릭스 등 특히 카메룬 감독이 일본 미아자키 만화에 심취한 듯
  5. 어제 드디어 아바타 보았네요. 3D 그래픽 Good, Story so-so, 무언가 2%가 부족


2009년 송년회때 회사에서 같이 본 아바타


천공의 섬 라퓨타을 보는 듯한
포스터
이 영화는 어디서 많이 본 듯한
장면들이 많이 나온다.

많이 창의적이지는 않은 영화라고나 할까

하지만 그런 장면들을 잘 비벼 놓았다.
그래서 잘비빈 맛있는 비빔밥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 유명한 제임스 카메룬 감독 작품
그래서 사람들이 열광하는 지

드디어 아바타를 보았다.
그런데 무언가 부족하다는 느낌
2% 부족
스토리가 탄탄하지는 않다.

기억남는 두 배우
미셀 로드리게즈
미국 드라마 로스트에 나왔고
분노의 질주 더 오리지널에 나왔던

그 여전사



총 든 모습이 어울린다.

그리고 또 하나의 여자 배우
시고니 위버



그레이스 어거스틴 박사 역으로 나온다.

1979년 리틀리스콧에 의하여 만들어진
에이리언에 나왔던 여배우


30년 전의 모습
정말 어린 모습
아바타에서는 거의 할머니

세월이 많이도 흘렀네

1979년 에이리언이 나오고
1886 에이리언 2가 나온다
7년이 흐른다음
그런데 감독이 바뀌어



미국에는 동일한 영화가 감독이 바뀌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 에이리언2 감독이
아바타를 감독한 제임스카메룬

20년 전에 여배우를 20년이 흐른 다음에도
배우로

나이를 먹어 역할은 바뀌었지만

여하튼
이 영화의 가치는 3D영화의
대중화에 성공한 영화라는 것이라는 평들이 나온다.

어찌되었든
아름다운 장면 들은
눈을 떼게 하지 않는다.

- 아바타를 보고 -


Posted by 날으는종이배
|



우연히 우리나라 그룹 "두번째달" 공연을 보게 되었다.
아일랜드 음악이라 한다.
공연중에 원수라는 영화가 좋다고 한다.
아일랜드 배경으로 음악관련 영화라고
글쎄 어떤 영화일까 ?

집에와 인터넷으로 찾아보니
원수가 아니고 원스(ONCE) 라는 영화다.
어떤 영화일까?

별로 홍보도 되지 않은 듯
인터넷에 보니 독립영화라고 한다.
제천국제음악영화제 개막작 상영작
저예산 영화 (약 1억 4천 정도)
촬영기간 2주

상당히 적은 비용과 빠른 촬영
독립영화이니
그런데 관중은 독립영화 처음으로 20만이 넘었다고 한다.
OST음반도 3만장이나 팔렸고

궁금해 진다.

과연 어떤 영화이길래?

마침 시간이 나서
종로에 있는 한 영화관을 찾았다.
<원스>를 상영하는 영화관이 있다.
표 끊고 입장
관객들이 제법 많다.

영화가 시작된다.


사람이 없는 곳에서 큰소리로 열정적으로 노래를 부른다.
일종의 카타르시스
열정적으로 노래를부르고 나면 속이 후련하다
울고 난 것 처럼

처음에 둘의 만남
그리고
그 둘을 이어주는 매개체로
청소기가 등장한다.
청소기를 강아지 처럼 끌고 다니는 신선함
새롭다.


여자 주인공이 남자 주인공을 집에 초대한다.
잘살지 못하는 동네
그 동네에 그 집만 TV가 있단다
그래서 동네 애들이 TV를 보러 놀러 온다.
우리의 70년대를 연상하는 장면

건전지가 떨어져 밤에 슈퍼에 가서
건전지를 넣고 돌아오며 듣는 음악
참 듣기 좋다.
인터넷에서 "건전지 송"이라고 하는 음악

역시 여기도 흥정이 있다
녹음실 대여로 3천을 천으로 제안해서
2천으로 천을 깍는 생활력
철저한 아줌마 정신
남자 주인공이면 아마 못 깍았을 것이다.

아일랜드의 정서가 그런지
자신의 속내를 쉽게 보이지 않는다.
"밀루 유 떼베"라고 말하는 여 주인공





밤 새워 음반작업을 한다.
밤 새워 일했던 기억이 있는 사람이면
그 느낌을 알 수 있다.
하얗게 밤새우고 난 후
무언가를 만들었다는 그 뿌듯함.


서로 상처를 입은 아주 때묻지 않은 순수도 아니다.
물론 둘은 처녀 총각의 지순한 사랑도 아니다.
결혼 생활이 정상적이지 않은 그런 사람들이다.

우리 주위에 있는 그런 사람들이다.


비록 사랑 이야기이지만
서로는 지극히 절제되어 행동한다.
남자 주인공이 한 번 같이 있자고 말했다가 사과하고
그 흔한 뽀뽀 장면하나 나오지 않는다.

내용은 단순하다.
그래도 중간 중간 관객의 마음을 살작살작 건드린다.

음악도 역시 단순하다.
끝나고 나올 때면 그 리듬이 어느 정도 익숙해 진다.
그런데 약간의 중독성이 있다.

거칠은 카메라 워킹
키타 하나로 연주되고 노래하는 그 투박함

단순한 멜로디
디지털이 아닌 철저한 아나로그다.

관객의 눈을 현혹시키지 않는다.

그냥 있는 그대로다.

아니 너무 있는 그대로다.

디지털에 젖어있는 인간은 이러한 아나로그를
과거의 회상으로
고향과도 같은 마음으로 사랑하나 보다.

음악은 대단하다.
아마 이 영화에 음악이 없었다면
어떠했을까?
그냥 독립진영에서 만든 습작영화에 불과했을 것이다.
그리고 관객도 별로 호응하지 못했을 것이고.
그냥 TV 단편 드라머 정도로 만족했어야 할 영화

그러나

음악이 있어 관객을 끌 수 있었던 영화

최근에 본 영화 중 제일 인상에 남는

좋은 영화다.

Posted by 날으는종이배
|
▣ 제작 배경영화

1973년 최고의 히트를 기록한 영화 "스팅"은 당시 흥행성과 작품성을 동시에 모두 만족시켰다. 대중에게 이미 공증받은 영화 "스팅"의 강한 반전과 복합적인 장르가 결합된 치밀한 구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각도의 시각을 통해 재해석하고 이에 감각적이고 예술적 측면을 가미하여 관객의 문화적 욕구를 더욱 충족시켜줄 수 있는 뮤지컬 "스팅"을 탄생시키고자 한다. 기존 뮤지컬은 보통 여성관객을 겨냥한 사랑이야기가 주류였으나, "스팅"은 남성적 캐릭터가 강한 테마를 위주로 다양한 이야기들이 구성되어 있어, 중 · 장년층의 남성 관객들부터 감성적인 여성층, 청소년층 관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하여 재미와 감동의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대 경험이 많은 스탭 또 대중의 인기와 완벽한 무대매너, 연기력, 가창력을 두루 갖춘 배우들을 주요배역에 고정 출연시켜 무대 예술의 완성도를 더욱 높여줄 것이다. 관객에게 직접 다가가 무대에서 펼쳐질 뮤지컬 "스팅"은 스크린에서 느꼈던 재미와 감동은 물론, 무대 아래 관객과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어 극에 대한 흡인력을
유발할 것으로 기대한다.

▣ 영화 스팅

1973년 유니버셜 영화사가 제작, 크리스마스를 기해 개봉되어 당시 흥행성과 작품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며 아카데미 7개부문을 수상한 영화 <스팅>은 <내일을 향해 쏴라>의 명콤비 조지 로이힐 감독과 폴뉴만, 로버트 레드포드가 만나 다시 한번 그 명성을 확인시켜준 걸작이다. <스팅>은 1936년 시카고 암흑가와 뒷골목에서 현란한 두뇌플레이로 상대를 속이는 사기꾼들의 활약을 그린 명랑한 서스펜스 코믹물이다. 또한 폴뉴먼(헨리)와 로버트 레드포드(후커)를 중심으로, 로버트 쇼 (로니건)찰스 다링(스나이더) 로버트 알 존스(콜맨) 등 각자가 보여준 카리스마가 번뜩이는 연기는 관객을 시종일관 극에 몰두하게 한다. 배역진의 연기와 더불어 산해진미같은 풍성한 재미가 매력적인 이영화는 치밀한 구성과 화술로 갱 두목을 골탕먹이는 과정속에 반전을 거듭하는 스피디한 구성과 극적전개, 마빈 햄리시의 경쾌한 음악이 핵심이다. 스코트 조플린의 래그타임을 위주로한 영화 음악은 극의 색채를 결정 짓는다. 래그타임(Ragtime)은 1800년말부터 1900년대 초까지 미국에서 유행했던 대중음악의 한 장르이다. 감독 조지 로이힐은 어느날 조카가 스코트 조플린의 피아노 곡을 치는 것을 듣고 이곡에 빠졌다고 전해지는데<스팅>의 줄거리 배경이 되는때를 스윙음악이 미국전역을 휩쓸던 시기인 1930년대로 설정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Posted by 날으는종이배
|